안녕하세요.
폭스바겐 소식을 즐겁고 유쾌하게 전해드리는 <폭스바겐코리아> 공식 포스트입니다.
오늘은 연초에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는, 전기차 보조금에 관한 소식을 전해드리겠습니다. 특히 폭스바겐 ID.4가 수입차 중에서 가장 많은 국고 보조금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 내용도 중점적으로 다뤄드릴게요.
중 · 대형 전기차는 650만원, 소형차는 550만원
전기차 보조금은 국비 보조금과 지자체 보조금으로 나뉩니다. 오늘은 국비 보조금에 대해서만 말씀드릴게요. 국비 보조금을 산출하는 방식은 몹시 복잡합니다만, 공통사항은 알고 계셔야 합니다.
전기차 기본 가격이 5500만원 미만인 차량은 보조금 전액, 5500만원 이상~8500만원 미만 차량은 보조금의 50%를 받습니다. 8500만원 이상 차량은 국비 보조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올해 국비 보조금은 최대 중 · 대형 전기차 650만원, 소형차 550만원으로 책정되었습니다. 다만, 보급목표 이행보조금, 충전인프라보조금, 혁신기술보조금을 한시적으로 추가지원하는 경우 중 · 대형 최대 750만원, 소형 최대 650만원을 지원하기 때문에 일부 국산 전기차는 650만원을 넘는 국비 보조금을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단순히 자동차의 성능만으로 많은 보조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정부는 사회기여에 대한 부분도 주목하고 있죠.
ID.4가 수입차 중 가장 많은 보조금을 받을 수 있었던 이유
폭스바겐 ID.4의 국비 보조금은 492만원으로 수입차 중에서 가장 많은 보조금을 받습니다. 여기에는 수많은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했습니다.
[(성능보조금+배터리안전보조금) x 배터리효율계수 x 배터리환경성계수 x 사후관리계수 + 보급목표이행보조금 + 충전인프라보조금 + 혁신기술보조금] x 가격계수
이것이 바로 국비 보조금 산출 방식입니다. 더하기와 곱하기만 있지만, 그럼에도 너무나 복잡합니다. 어려운 건 건너뛰기하는 용기도 가끔 필요합니다. 국비 보조금을 책정하는 다양한 요소가 있다는 것만 알아두자고요.
먼저 합리적인 가격. ID.4 프로 라이트 모델의 가격은 5,490만원입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국비 보조금을 전액 받을 수 있는 요건을 갖췄죠.
여기에 최대주행가능거리가 상온 421km로 주행거리 감점 요소도 적었습니다. 또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이온 배터리를 쓰고 있는 점, 그래서 배터리 재활용이 용이한 점, 전국에 30개 넘는 서비스 센터를 가지고 있는 점 등등으로 국비 보조금 감점이 최소화됐습니다.
국비 보조금에서는 전비도 중요합니다. 기준가중연비는 5.0km/kWh입니다. ID.4의 전비는 4.9km/kWh입니다. 도심 전비는 5.3km/kWh, 고속도로 전비는 4.5km/kWh입니다. 아쉽게도 0.1km/kWh 차이로 감점 요소도 조금 있었습니다.
하지만 ID.4는 135kW의 급속 충전을 지원하기 때문에 22만원의 추가 지원금을 받기도 했죠.
새롭게 도입된 국비 보조금 책정 기준
올해 정부가 도입한 새로운 요건 때문에 많은 수입차가 보조금 칼바람을 맞았습니다. 지난해에 비해 보조금이 반토막 난 수입차도 허다하죠. 바로 '배터리효율계수', '배터리환경계수', '사후관리계수' 이렇게 크게 세 가지 요건 때문입니다.
배터리효율계수는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와 밀접합니다. 대부분의 전기차는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합니다. ID.4도 리튬이온 배터리를 쓰고 있죠. 최근에는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도 늘고 있습니다. 다만 리튬인산철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낮습니다. 그래서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쓴 자동차는 배터리효율계수에서 큰 감점을 받게 됐죠.
배터리환경성계수는 배터리가 어떤 물질로 만들어졌는가를 봅니다. 그 물질이 재활용이 용이한지, 그래서 환경에 조금이나마 이로움을 줄 수 있는지 보는 것이죠. 반면, 리튬인산철 배터리는 철, 인산염, 알루미늄 등이 주된 구성 물질입니다. 각 물질마다 재활용 가치가 다르기 때문에, 그에 따른 보조금 차등을 두게 되었죠.
사후관리계수는 서비스 센터 운영, 정비이력 및 부품관리 전산 시스템 운영 등을 말합니다. 직영센터가 권역별로 몇 객 운영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죠. 폭스바겐은 전국에 30개가 넘는 서비스 센터를 운영하고 있고, 제주도에도 서비스 센터가 있습니다.
글로벌 기업인 폭스바겐이 한국의 보조금 제도를 예견하고 차를 만들진 않았겠죠. 하지만, 미래를 준비하며 기본에 충실한 '폭스바겐다운 전기차 만들기'를 시도한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이번 국비 보조금 책정 요건을 자세히 살펴보면 더 그렇게 느껴집니다. 단순히 가격이 저렴한 자동차가 보조금을 많이 받는 것이 아니라 보다 친환경적이고, 보다 효율적이면서, 보다 나은 미래를 준비한 자동차에게 혜택이 많이 돌아간 것 같거든요.
2024 전기차 보급을 위한 정부의 보조금 지원기준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 아주 상세히 기록되어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 준비한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오늘의 포스트가 유익하셨다면 폭스바겐코리아 채널 '좋아요'와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그럼 모두 안전운전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