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그룹코리아는 그동안 ‘전동화’를 목표로 제품과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고도화해왔습니다. 올해도 가솔린과 전기차를 아우르며 제품을 출시하고, 전기차 서비스와 충전 인프라를 확대해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했습니다. 지금부터, 폭스바겐그룹코리아가 선보인 연료 믹스 포트폴리오와 함께 제품과 서비스 포트폴리오 계획에 대해 살펴봅니다.
다양한 연료를 믹스한 폭스바겐그룹코리아의 포트폴리오
폭스바겐그룹코리아는 전기차 라인업 강화에 앞서, 연료 믹스를 통해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왔습니다. 2021년 폭스바겐그룹코리아 자동차 판매량을 보면 가솔린 차량과 전기차 모델 비중이 증가했고, 디젤 차량 비중은 감소했습니다. 이처럼 새로운 연료를 원하는 시장의 요구에 발맞춰, 올해 폭스바겐그룹코리아는 가솔린 차량과 전기차를 고르게 출시했습니다. 폭스바겐그룹코리아가 출시한 가솔린차 모델은 신형 티구안 올스페이스, 전기차 모델은 아우디 쿠페형 SUV ‘아우디 e-트론 S’와 ‘아우디 e-트론 S 스포트백입니다.
[출처 : Volkswagen Group Korea]
전기차 신제품 선보이며 서비스와 충전 인프라 확대
‘서비스 포트폴리오’는 전기차에 필요한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폭스바겐그룹코리아는 전기차 수리가 가능한 서비스센터를 늘리며, 고전압 배터리 전문 정비센터를 신설할 예정입니다. 이는 최적의 전기차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입니다. 전기차 서비스에 필요한 전문 인력은 폭스바겐그룹코리아 트레이닝 아카데미에서 양성합니다. 아카데미서 훈련한 전기차 스페셜리스트(EIP) 587명, 고전압 테크니션(HVT) 112명이 보다 완벽한 정비 서비스를 제공할 것입니다. 전기차 충전 인프라도 확대할 계획입니다. 각 딜러 네트워크에 더 많은 충전기를 보급하며, 150kW급 고속 충전기 비중을 늘려갈 것입니다. 고객 전용 예약 서비스, 차징-온-디멘드 서비스, 홈 차징과 같은 충전 옵션도 함께 제공합니다.
[출처 : Volkswagen Group Korea]
전기차 시대를 이끌 폭스바겐그룹의 전동화 전략
글로벌 폭스바겐그룹은 전기차 플랫폼 구축에 한창입니다. 폭스바겐그룹의 모듈형 전기차 플랫폼(MEB)과 프리미엄 전기차 플랫폼(PPE)에서, 향후 10년 동안 약 2,600만 대의 전기차를 공급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어 차세대 메카트로닉스 플랫폼(SSP)를 완성하면, 폭스바겐그룹의 전기차 포트폴리오는 더욱 다양해질 것입니다.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면 배터리 재활용과 같은 새로운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폭스바겐그룹은 배터리 재활용 시범 공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각 공장에서는 연간 3,600개의 배터리를 1,200톤의 배터리 원료로 재생산합니다. 재생산을 통해 원료 추출-제조-소비-폐기-추출로 이어지는 배터리 가치사슬 폐쇄루프는 낭비되는 자원과 배터리 비용을 줄여줍니다. 나아가, 폭스바겐그룹은 전기차 생산과 물류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감축을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공장과 물류 이동에 쓰이는 에너지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한 결과 연간 150만 톤의 이산화탄소가 줄어들었습니다. 이는 약 87만 대의 내연기관 자동차가 배출하는 이산화탄소 양과 맞먹을 만큼 막대한 양입니다. 이 같은 노력은 전동화 전략과 맞물려 2050년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할 것입니다.
글로벌 전동화 전략 아래, 폭스바겐그룹코리아는 다양한 연료의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전기차 서비스와 충전 인프라를 확대하며 전동화를 향해 나아가는 중입니다. 전동화를 통해, 전기차 시대를 이끌어갈 폭스바겐그룹코리아와 폭스바겐그룹의 활동에 주목해주세요.
▶ VWGK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
▶ VWGK 페이스북 채널 바로가기
▶ VWGK 링크드인 채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