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17
폭스바겐그룹, 올해 9월 기준 전기차 인도량 45% 증가
- 2023년 1~9월 전기차(BEV) 531,500대 인도 (전년 동기 366,600대)
- 전체 인도량 중 BEV가 차지하는 비중 7.9%로 증가(2022년 1~9월: 6.1%), 3분기에만 9.0%에 달해(2022년 3분기: 6.8%)
- 유럽은 2022년 1~9월 211,900대보다 61% 늘어난 341,100대의 BEV 인도, 폭스바겐그룹 전동화 전략의 핵심 추진요인으로 자리매김… 미국은 74% 증가한 50,300대(2022년 1~9월: 28,900), 중국은 4% 상승한 117,100대(2022년 1월~9월: 112,700대) 인도
- 그룹의 영업 부문 확대경영위원회 멤버 힐데가르트 보트만(Hildegard Wortmann, Member of the Group’s Extended Executive Committee for Sales): “올해 첫 9개월 동안의 전 세계 전기차 공급량에서 45%의 증가율을 보이며 전반적으로 좋은 성과를 거뒀다. 현재 유럽 시장에서 배터리 차량 구매에 대해 전반적으로 꺼리는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폭스바겐그룹은 시장점유율을 높이며 이 부문에서 시장 선두자리를 유지했다. 다만 전체 시장 추세가 예상했던 수준보다 낮아 주문량은 그룹의 목표치를 밑돌고 있다.”

폭스바겐그룹은 2023년 첫 9개월 동안 체계적으로 변화를 이어갔다.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531,500대의 전기차를 전 세계 고객에게 인도,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한 수치다. 이로써 전체 인도량 중 BEV가 차지하는 비중도 전년 동기 6.1%에서 7.9%로 높아졌다. 3분기 BEV 점유율은 9.0%로 전년 6.8%에서 상승했다. 유럽은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61% 증가한 341,100대의 BEV를 인도하며 그룹 전동화 전략의 주요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했다. 미국 지역에서는 74% 증가한 50,300대를 기록했고, 중국에서는 4% 증가한 117,100대를 인도하며 전년 수준을 넘어섰다.
그룹의 BEV 인도량의 64%가 본거지인 유럽에서 이루어졌고, 그 뒤를 중국이 22%, 미국이 10%를 차지했다. 4%는 그 외 시장에서 발생했다.
폭스바겐 승용차 브랜드의 경우 9월 말까지 273,000대의 전기차를 인도했는데, 이는 그룹 전체 BEV 인도량의 절반을 약간 넘는 수치다. 그 뒤를 이어 아우디 123,000대(그룹 점유율 23%), 스코다 54,400대(그룹 점유율 10%), 세아트/쿠프라 32,300대(그룹 점유율 6%), 포르쉐 27,900대(그룹 점유율 5%), 폭스바겐 상용차 19,600대(그룹 점유율 4%) 순이었다.
2023년 첫 9개월 동안 가장 성공적인 BEV 모델은 다음과 같다.
• 폭스바겐 ID.4/ID.5 162,100대
• 폭스바겐 ID.3(1) 90,500대
• 아우디 Q4 e-트론 (스포트백 모델 포함) 77,900대
• 스코다 엔야크 iV (쿠페 모델 포함) 54,400대
• 아우디 Q8 e-트론 (스포트백 모델 포함) 21,800대
(1) ID.3 – 전비 복합(kWh/100km): 16.5-15.2 / CO₂ 배출량(g/km): 0 / WLTP에 따른 연료소비 및 배기가스 수치

# # #
- 폭스바겐그룹코리아
- 그룹마케팅 및 사업개발 Contact 이수진 상무
- 그룹마케팅 Contact 박정윤 매니저
- 드밀커뮤니케이션
Phone +82-2-6009-0059
E-mail sujin.lee@vwgk.co.kr | www.vwgk.co.kr
Phone +82-2-6009-0059
E-mail jungyoon.park@vwgk.co.kr | www.vwgk.co.kr
-
Contact 임봉선 실장
Phone +82-10-8923-5635
E-mail debbie@demillpr.com | vwgk@demillpr.com | www.demillpr.com
Contact 황현수 과장
Phone +82-10-9879-9902
E-mail soo@demillpr.com | vwgk@demillpr.com | www.demillp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