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8

폭스바겐그룹: 도전적 환경 속에서도 2025년 상반기 견고한 실적 달성

 

 


 

주요 실적

 

2025년 상반기 매출액은 1천584억 유로로 
전년 동기(1천588억 유로) 수준 유지
 

파이낸셜 서비스 부문의 판매량이 소폭 증가하고 

매출액이 크게 증가했으나, 환율 요인이 이를 상쇄했다.

   

2025년 상반기 영업이익은 67억 유로
전년 동기(100억 유로) 대비 33% 감소

/ 영업이익률 4.2%

 

영업이익의 감소는 주로 미국 수입 관세 인상에 따른 비용(13억 유로) 및 

아우디와 폭스바겐 승용차, 카리아드의 구조조정 충당금(7억 유로), 

그리고 이산화탄소 규제 관련 비용에 기인한다. 

전기차 비중 증가와 가격 및 환율 효과 등의 부정적 혼합 효과도 영향을 미쳤다. 

미국 관세 인상과 구조조정 영향 제외 시 영업이익률은 5.6%다. 

   
2025년 상반기 자동차 부문 순현금흐름은
-14억 유로 (전년 동기 4억 유로)
 

영업실적 변동 외에도 순현금흐름 감소의 주요 원인은 M&A 지출이었다. 

여기에는 리비안 지분 추가 취득을 위한 9억 유로가 포함됐다. 

구조조정 조치와 미국 수입 관세 관련 비용도 영향을 미쳤다. 

반면 운전자본에 묶인 현금 수준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것은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2025년 상반기 차량 판매량은 436만대로 

전년 동기(434만대)를 소폭 상회

 

남미(+19%), 서유럽(+2%), 중 동부 유럽(+5%) 시장의 성장률이 

중국(-3%)과 주로 관세로 인한 북미(-16%)에서의 예상 감소분을 충분히 상쇄했다.

   
2025년 상반기 서유럽의 차량 주문량은 19% 증가 

서유럽 지역 주문량이 지난해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모든 구동계에 걸친 신모델들(예. 폭스바겐 ID.7 투어러, 쿠프라 테라마, 스코다 엘로크, 아우디 Q6 e-트론, 

포르쉐 911 등)이 이를 주도했다. 특히 순수 전기차 주문량이 강세를 보이며 62% 증가했다. 

 


 

 


 

2025년 예상치 (7월 25일 기준)

 

폭스바겐그룹은 올해 매출액이 전년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전 예상치: 최대 5% 증가). 영업이익률은 4.0%에서 5.0% 사이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전 예상치: 5.5~6.5%).

 

자동차 부문에서의 올해 투자율은 12%에서 13%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순현금흐름은 10억 유로에서 30억 유로 사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전 예상치: 20~50억 유로). 여기에는 특히 미래를 위한 투자와 구조조정에 따른 현금 유출이 포함된다. 올해 자동차 부문의 순유동성은 310-330억 유로로 전망된다 (이전 예상치: 340~370억). 그룹의 목표는 변함없이 견고한 재무구조와 유동성 정책을 유지한다는 것이다.

 

영업실적과 순현금흐름, 순유동성의 예측 범위 하단 기준은 특히 올해 하반기에도 현재 적용 중인 미국 수입 관세 27.5%가 지속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반면 상단 기준은 해당 관세가 10%로 인하될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관세의 향후 추이와 영향, 그리고 이에 따른 상호 보복 조치 등에 대해서는 여전히 상당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정치적 불확실성, 무역 제재의 확대, 지정학적 긴장 고조, 경쟁 심화, 불안정한 원자재 및 에너지, 환율시장, 그리고 올해 초부터 강화된 배출 관련 규제 역시 주요 도전 과제로 작용할 것이다.

 

 


 

브랜드 그룹에 대한 추가 정보

 

 


 

폭스바겐그룹 주요 수치

 

1 전년도 수치 조정됨 (IAS 8 설명 참고). 
2 이 수치에는 지분계정을 보유한 중국 내 합작회사도 포함됨.  전년도 판매량은 이후 통계 추세를 반영해 업데이트됨.
3 지분투자 취득 및 처분 제외: 2분기 55억6천3백만 유로 (전년 동기 54억 6천 2백만 유로), 1-6월 103억9천7백만 유로 (전년 동기 108억6천8백만 유로)

 

 


 

브랜드 그룹 및 비즈니스 부문 주요 수치 (1-6월 기준)

 

1 전년도 수치 조정됨 (IAS 8 설명 참고). 
2 포르쉐 파이낸셜 서비스 포함: 매출액 181억5천7백만 유로 (전년 동기194억5천7백만 유로), 영업이익 10억7백만 유로 (전년 동기 30억6천1백만 유로)
3 지분계정을 보유한 중국 내 합작회사의 매출액 및 영업실적은 통합 수치에 포함되지 않으며, 이들 회사가 창출한 영업실적 비중은 5억6백만 유로 (전년 동기 8억1백만 유로)
4 영업실적에는 주로 손익으로 인식되는 그룹 내 항목 포함. 특히 회사 간 이익 제거로 인한 영향 반영. 인수 가격 배분 과정에서 인식된 신별 가능 자산에 대한 감가상각 및 상각, 특정 브랜드에 속하지 않는 회사들의 실적도 포함.
 


 

폭스바겐그룹코리아
이수진 상무 그룹마케팅 및 사업개발 +82-2-6009-0059 sujin.lee@vwgk.co.kr | www.vwgk.co.kr

 

드밀커뮤니케이션
정이나 차장 +82-10-6302-7793 yeena@demillpr.com | vwgk@demillpr.com | www.demillpr.com

임봉선 실장 +82-10-8923-5635 debbie@demillpr.com | vwgk@demillpr.com | www.demillpr.com

 

폭스바겐그룹 소개

독일 볼프스부르크에 본사를 둔 폭스바겐그룹은 세계적인 자동차 제조기업 중 하나다. 유럽 17개국과 미주, 아시아, 아프리카 10개국에 115개의 생산시설을 갖추고 전 세계적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전 세계 약 680,00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그룹의 차량은 150개 이상의 국가에서 판매되고 있다.
강력한 글로벌 브랜드와 대규모 선도기술, 미래 수익 창출을 위한 혁신적인 아이디어, 기업가적 리더십 팀으로 구성된 독보적인 포트폴리오를 갖춘 폭스바겐그룹은 전동화와 자율주행 차량, 디지털화, 지속가능성에 대한 투자를 통해 모빌리티의 미래를 만들어가는 데 집중하고 있다.
2024년 기준 총 900만대(2023년 920만대)의 차량을 전 세계 고객에게 인도했다. 2024년 그룹 매출액은 총 3,247억 유로(2023년 3,223억 유로), 영업이익은 191억 유로(2023년 225억 유로)를 기록했다.
 


 

THE GLOBAL AUTOMOTIVE TECH DRIVER
글로벌 자동차 기술 리더